300x250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5년 만기 후 실제로 얼마를 손에 쥘 수 있을까요?
단순히 금리만 보는 게 아니라,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종합해서 계산해야 실질적인 이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소득 구간별 실제 수령액이 얼마나 되는지, 은행 금리와 정부기여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차근차근 분석해 보겠습니다. 가입을 고민 중이라면 이 글을 통해 본인의 수익률을 미리 가늠해 볼 수 있을 거예요.
👉 관련 정보 보기: 청년도약계좌 공식 안내 페이지 - 서민금융진흥원
👉 계산기 사용해 보기: 핀다 청년도약계좌 계산기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5년 자유적립식 저축상품입니다.
- 매월 최소 1천원~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
- 3년 고정,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
-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
- 정부기여금 월 최대 3만 3천원 (소득 구간별 차등 지급)
2. 금리 구조 정리
🏦 은행 금리 (3년 고정 기준)
- 기본금리: 4.5%~6.0% (세전)
- 일부 은행 우대금리 (급여이체 등 조건 충족 시 0.5~1.7% p 추가 가능)
🏛 정부기여금
소득 구간별로 아래와 같습니다:
소득 구간 (총 급여) 월 납입 한도 매칭 비율 월 기여금 한도
≤2400만 원 | 70만 | 6.0% | 2만 4천 원 |
2400~3600만 원 | 50만 | 4.6% | 2만 3천 원 |
3600~4800만 원 | 60만 | 3.7% | 2만 2천 원 |
4800~6000만 원 | 70만 | 3.0% | 2만 1천 원 |
6000~7500만 원 | — | 0% | 0원 (비과세만) |
- 월 70만 원 전액 납입 시 최대 월 3.3만 원 기여금 ▶ 연 9.54% 효과 가능
- 기여금+이자소득 모두 비과세
3. 실제 수령액 계산 예시
예시 A) 소득 ≤2400만 원, 월 70만 원 납입
- 원금: 70만 × 60개월 = 4,200만 원
- 정부기여금: 2.4만 × 60개월 = 144만 원
- 은행이자: 기본 4.7% 기준 단리/복리 방식 가정 → 약 500만 원 추정
- 총 수령액: 약 4,200 + 144 + 500 = 4,844만 원
정확한 이자 계산은 금융사 계산기를 이용하면 더 세밀한 결과를 알 수 있어요.
예시 B) 소득 3600~4800만 원, 월 60만 원 납입
- 원금: 3,600만 원
- 기여금: 2.2만 × 60개월 = 132만 원
- 이자 약 430만 원
- 총 수령: 약 4,162만 원
예시 C) 소득 6000~7500만 원 (기여금 없음), 월 70만 원 납입
- 원금: 4,200만 원
- 기여금: 0원
- 이자 약 500만 원
- 총 수령: 약 4,700만 원 (비과세 이자만)
4. 주요 포인트
- 정부기여금 덕분에 실효수익률이 연 최고 9.54% 가능
- 이자소득 비과세라 일반 적금보다 더 많은 손에 쥘 수 있어요.
- 중도해지 시 손해 주의: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해야 기본 이율 보장
5. 계산기 활용 팁
- 뱅크샐러드, 핀다, 은행 계산기 활용하면
- 가입 가능 여부
- 예상 이자/총 수령액
- 은행별 금리 비교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
✅ 결론 및 실천 팁
- 소득 구간에 따라 매달 얼마씩 납입할지, 기여금 수령액은 얼마나 될지 미리 계획하는 것이 중요해요.
- 월 70만 원 납입으로 최대로 혜택 누리려면
- 소득 ≤2400만 원이라면 기여금 + 비과세 이자로 4,800만 원대 마련 가능
- 소득이 높아질수록 기여금은 줄지만, 비과세 이자 혜택은 여전히 유효
- 가입 시 3년 이상 유지 가능한지 재정 계획부터 세우고, 우대금리 조건 충족도 고려하면 이익이 더 커집니다.
FAQ
- 정부기여금은 중도해지해도 받나요?
- 3년 미만 해지 시 일부(60%)만, 3년 이상 해지 시 전액 지급됩니다.
- 기여금+이자 모두 비과세인가요?
- 네. 이자소득세 없이 만기 수령 가능합니다.
- 중도해지 이율은 어떻게 되나요?
- 예: 3개월 이상 11개월 미만 해지 시, 기본이율의 50~80% ×보유기간 비율로 계산됩니다.
- 청년희망적금과 동시에 가입 가능한가요?
- 아니요.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.
- 정부기여금은 언제 지급되나요?
- 매월 납입 시 은행이 자동으로 입금해 줍니다.
5년 후 안정적으로 목돈을 마련하려면,
소득 구간에 맞는 납입 계획과 기여금+이자 최대한 활용,
우대금리 조건 충족이 핵심입니다.
지금 바로 은행별 계산기 써보시고, 지혜롭게 미래를 준비해 보세요!
2025.07.23 - [분류 전체보기] -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 저축계좌 차이점|정부 지원 혜택 제대로 비교해 보기
300x250